한국 중국

연구인력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연구인력

연구인력

연구책임자
일반연구원
HK교수
HK연구교수
연구보조원

연구책임자

일반연구원

HK교수

HK연구교수

연구보조원

원장(윤재석)
이름 윤재석(尹在碩, YUN, JAE SEUG)
학력 학사 :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석사 :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 :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경력 1997.3~2019.11 현재: 경북대학고 사학과 교수
2019.5~2019.11 현재: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장
2006.1~2019.11 현재: 중국사회과학원 간백연구센터 객원연구원
2019.9~2019.11 현재: 중국 하북사범대학 역사문화학원 객원교수
2009.1~2019.11 현재: (재단법인) 세종문화재연구원 이사
2016.3~2018.2: 경북대학교 교수회의장
2012.1~2013.1 중국고중세사학회 회장
학술저서 중국가족제도사(역서)
수호지진묘죽간역주(睡虎地秦墓竹簡譯註)
낙랑군 호구부 연구(공저)
학술논문 漢代武威地區喪葬禮俗文化的性質 ― 以磨嘴子漢墓出土幡物爲中心 ―
韓國的秦簡牘硏究(2015-2017)
從東亞視野看韓國火旺山城出土人形木簡
秦의 ‘新地’ 인식과 점령지 지배

위의 성과 외 다수
김경남
이름 김경남(金慶南, Kim, Kyungnam)
학력 학사 : 경북대학교 사학과
석사 :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경력 경북대학교 교수
法政大學 敎授
국가기록원 학예연구원
학술저서 일제의조선구관제도조사와기초자료, 혜안, 2019
일제의조선관습조사자료해제Ⅲ, 혜안, 2019
한국사(개정증보판), 경북대출판부, 2018
학술논문 제국의 식민지 점령지 지배와 '전후보상' 기록의 재인식 - 조선의 식민지지배 보상처리 결재구조와 원본출처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39호, 2014
일제강점 초기 자본가 중역겸임제에 의한 정치·사회적 네트워크의 형성, 한일관계사연구 제48집, 2014
전시체제기 중역겸임제를 통한 자본가 네트워크와 전시동원체제, 전북사학 45호, 2014
1894-1910년 한국과 일본 근대기록구조의 중층성과 종속성 - 전북지역 전략적 인프라구축기록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15권, 2015

위의 성과 외 다수
이영호
이름 이영호(李泳鎬, Lee, Young-ho)
학력 학사 :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석사 :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 :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경력 한국고대사학회 회장
대구사학회 회장
한국목간학회 감사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원장
학술저서 신라 중대의 정치와 권력구조
신라의 왕권강화와 발전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 자료집(8권)
문자와 고대 한국 2(교류와 생활)
학술논문 신라 성전사원의 성립
신라 문무왕릉비의 재검토
신라 혜공왕대 정변의 새로운 해석
신라 집사부의 설치와 중시

위의 성과 외 다수
홍승우
이름 홍승우(洪承佑, Hong, Sueng Woo)
학력 학사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경력 경북대학교 역사교육과 조교수
한국고대사학회 편집이사
단국대학교 사학과 박사후연구원
서울대, 홍익대, 강원대, 명지대 등 시간강사
학술저서 1. 『한국고대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공저, 진인진, 2021)
2. 『문자와 고대 한국1』(공저, 주류성, 2019)
3. 『문헌으로 보는 신라의 왕경과 월성』(공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7)
4.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 연구총서 3, 10』 (공저,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2016)
5. 『신라 최고의 금석문 포항 중성리비와 냉수리비』 (공저, 주류성, 2012)
학술논문 1. 「창녕 교동11호분 출토 명문대도 재검토」 『한국고대사연구』 101, 2021
2. 「창녕 계성 고분군 출토 토기 명문의 재검토」 『신라문화』 57, 2020
3. 「지증왕대 상복법과 율령」 『역사교육논집』 74, 2020
4. 「함안 성산산성 출토 부찰목간의 지명 및 인명 기재방식과 서식」 『목간과 문자』 22, 2019

위의 성과 외 다수
조헌구
이름 조헌구(趙軒求,Cho, Hun-goo)
학력 학사 : 경북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석사 : 경북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박사 : 주오대학(일본) 문학연구과 국문학전공
경력 일본어문학회 총무이사(2021.01-현재)
경북대학교대학인문역량강화(CORE) 사업단 계약교수(2016.9-2017.8)
경북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시간강사(2014.3-2016.8)
학술저서 1. 『일본문학, 그 시대를 읽다』(공저, 제이앤씨, 2017)
2. 『樂&學 차이를 묻다 –일본문학의 특질-』(공저, 제이앤씨, 2016)
3. 『읽으며 이해하며-마음에 남는 일본문학』(공저,도서출판 창조와 지식, 2016)
학술논문 1. 「본격 미스터리의 장르적 변용이 가져온 새로운 추리 공간의 탄생」 『日本文化學報』 89, 2021
2. 「글로컬적 텍스트 해석을 통한 「다양성과 복수성」의 ‘다시 쓰기’」 『일본어문학』 90, 2020
3. 「감정 표상의 문화론적 고찰」 『日本文化學報』 84, 2020
4. 「귀환자가 표상하는 한·일 근대 소설의 특질:비교 연구 관점에서」 『日本語文學』 82, 2019

위의 성과 외 다수
권민균
이름 권민균(權珉均, Kwon, Min Gyuno)
학력 학사 : 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중어중문학과
석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동양사학과
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동양사학과
경력 공주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중국사학회 총무이사
태동고전연구소 연구원
고려대, 부경대, 동아대, 창원대, 부산대 등 시간강사
학술저서 『문화 교통공간으로서의 동아시아』(공저, 부산대학교출판문화원, 2022)
『왜 재난인문학인가?』(공저, 역락, 2021)
『고대 동아시아 석각자료 연구(上,下)』(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8)
『석각을 통해 본 동아시아 고중세 사회 -중국 고중세 석각자료 연구』 (공저, 신서원, 2018)
『돌의 문화사 - 돌에 새긴 동아시아 고대의 풍경』 (공저, 신서원, 2018)
학술논문 「漢代 五行學說史에서 『洪範五行傳』의 문헌적 가치와 의미」 『중국고중세사연구』 60, 2021
「漢書ㆍ五行志를 통해 본 班固의 災異觀」 『중국사연구』 125, 2020
「漢代 「洪範」의 재탄생과 班固의 「五行志」 저술 배경」 『중국사연구』 121, 2019
「後漢《張禹碑》의 특징과 자료적 가치」 『중국고중세사연구』 50, 2018

위의 성과 외 다수
원용준
이름 원용준(元勇準, Won, Yong Joon)
학력 학사 :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동양철학과
석사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
박사 : 日本東京大學 大學院 人文社會系硏究科
경력 충북대학교 철학과 부교수(현)
한국유교학회 부회장, 한국동양철학회 부회장(현)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연구
성균관대, 성신여대 시간강사
학술저서 『역주 설문해자주 1』 (공역, 전통문화연구회, 2022)
『시대 속의 맹자, 주제 속의 맹자』(공저,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21)(공저, 역락, 2021)
『비판적 사고 - 어떻게 다르게 생각할 것인가』(공저, 이음, 2020)
학술논문 「마왕퇴백서(馬王堆帛書) 『주역』을 통한 중국 고대역학(古代易學)의 재조명」 『유교사상문화연구』 84, 2021
「청화간 『서법』과 고대중국의 역학(易學)」 『유교사상문화연구』 81, 2020
「중국 고대 신화 자료의 유교적 전개」 『동양철학연구』 103, 2020
이승율
이름 이승율(李承律, LEE, Sung Ryule)
학력 학사 :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
석사 : 東京大學 人文社會系硏究科
박사 : 東京大學 人文社會系硏究科
경력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
東京大學 人文社會系硏究科
東京大學 人文社會系硏究科
학술저서 『郭店楚簡儒敎の硏究-儒系三篇を中心にして-』 (汲古書院, 2007)
『죽간ㆍ목간ㆍ백서, 중국 고대 간백자료의 세계 1』 (예문서원, 2013) (공저, 역락, 2021)
『중국 출토문헌의 새로운 세계 고대 동아시아의 원형을 찾아서』 (공저, 주류성, 2018)
『죽간 목간에 담긴 고대 동아시아』 (공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1)
『 동아시아 자료학의 가능성: 고대 동아시아사의 이해를 중심으로』 (공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9)
학술논문 「유가의 효치 철학과 ‘효’ 일원주의」 『율곡학연구』 45, 2021
「『노자』 ‘무위ㆍ자연’의 구조 변화와 정치철학의 양면성」 『동방학지』 187, 2019
「순자는 왜 ‘성악’을 주장해야 했는가」 『퇴계학논집』 24, 2019
「맹자의 공치 철학: 양심ㆍ전문성ㆍ문화권력ㆍ독립성ㆍ혁명성, 그리고 차등애」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15-2, 2016)
「荀子的同治哲學」 『哲學與文化』 531, 2018
전덕재
이름 전덕재(全德在, Jeon Deogjae)
학력 학사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경력 경주대학교 교양과정부 및 문화재학과 교수
한국고대사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규장각 특별연구원
서울대, 서원대, 홍익대, 서울여대, 충남대, 국민대 강사
학술저서 『신라육부체제연구』(일조각, 1996)
『한국고대사회경제사』(태학사, 2006)
『신라 왕경의 역사』(새문사, 2009)
『삼국사기 본기의 원전과 편찬』(주류성, 2018)
『한국 고대 음악과 고려악』(2020, 한역문화사)
학술논문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내용과 중고기 신라의 수취체계」『역사와 현실』65, 2007
「함안 성산산성 출토 신라 하찰목간의 형태와 제작지의 검토」『목간과 문자』3, 2009
「포항중성리신라비의 내용과 신라 6부에 대한 새로운 이해」『한국고대사연구』56, 2009
「중고기 신라의 조세수취와 역역동원」『한국고대사연구』98, 2020
「삼국시대 역사서의 내용과 성격- 書記와 國史를 중심으로-」『진단학보』138, 2022
윤용구
이름 윤용구(尹龍九, Yun, Yong-gu)
학력 학사 : 인하대학교 사학과
석사 : 인하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 : 인하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경력 한국목간학회 총무이사(2019-현재)
인천도시공사 문화재 팀장(2008.5-2020.2)
인천시립박물관 학예연구실장(2004.5-2008.4)
학술저서 1. 『낙랑군 호구부 연구』(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0)
2. 『지하의 논어, 지상의 논어』(공저,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2)
3. 『梁職貢圖と東部ユーラシア世界』(공저, 勉成出版, 2014)
4. 『譯註 翰苑』 (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8)
학술논문 1. 「‘낙랑군 호구부’ 연구의 동향」 『역사문화연구』 72, 2019
2. 「《삼국지》ㆍ《후한서》 韓傳의 ‘辰王’ 이해」 『역사와 담론』 79, 2019
3. 「馬韓諸國의 位置再論」 『지역과 역사』 45, 2019
4. 「《사기》ㆍ《한서》 注文의 고조선 기사」 『한국고대사연구』 85, 2017

위의 성과 외 다수
오수문
이름 오수문(呉秀文, Oh, SooMoon)
학력 학사 :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수료
석사 : 경북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박사 : 경북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경력 대구대학교 일본어일본학과 조교수 (2013~2021)
일본어문학회 일본학 학술이사 (2013~현재)
대한일본문화학회 정보이사(~현재)
학술논문 1. 「長屋王の人物像と長屋王家木簡に見る上流貴族の食生活」 『일본어문학』일본어문학회 90, 2020
2. 「나라 헤이안 시대의 荷札목간」『일어일문학』대한일어일문학회 85, 2020
3. 「일본의 한자 전래에 관한 일고찰」『일본문화연구』동아시아일본학회 74, 2020
4. 「『贄』목간과 『延喜式』의 贄 비교」『일본문화학보』한국일본문화학회 85, 2019
5. 「木簡に見る奈良時代の文字使用」『일본어문학』일본어문학회 87, 2019
위의 성과 외 다수
김도영
이름 김도영(金跳咏, Kim, Do-young)
학력 학사 :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석사 :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박사 : 総合研究大学院大学 文化科学研究科 日本歴史研究専攻
경력 日本学術振興会 特別研究員DC2
日本国立歴史民俗博物館 外来研究員
東京工芸文化研究所 研究員
학술저서 2018, 「가야와 왜의 금공품」,『가야고분군 연구총서』5권,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재추진단
2016,「가야의 무기」,『가야고고학개론』, 진인진
2016「装身具生産」『季刊考古学』第137号特集古墳時代・渡来人の考古学雄山閣
학술논문 2019, 「三國·古墳時代 金工品의 生産과 流通 -韓日古墳 出土 龍文透彫帶裝飾具를 중심으로-」,『韓國考古學報』第110輯
2018, 「신라 대장식구의 전개와 의미」,『韓國考古學報』第107輯
2017,「삼국·고분시대 상감기술의 전개와 한일교섭」,『韓國考古學報』第104輯
2015,「동북아시아 철기문화의 전개와 限冶供鐡 정책」,『韓國考古學報』第94輯

위의 성과 외 다수
김진우
이름 김진우(金珍佑, Kim, Jin Woo)
학력 학사 : 고려대학교 사학과
석사 : 고려대학교 사학과
박사 : 고려대학교 사학과
경력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방문학자
고려대학교 사학과 BK21 문화교류의세계사 팀 연구교수
고려대학교, 명지대학교, 인천대학교, 한경대학교 등 시간강사
학술저서 1. 中國學資料解題(10인 편저, 신서원, 2003)
2. 역주 당육전 하(6인 역서, 신서원 2008)
3. 중국의 지역문명 만들기와 역사 고고학자료 이용사례 분석(4인 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08)
4. 천성령 역주(12인 역서, 혜안, 2013)
학술논문 1. 전한 무제말 이후의 황실교육과 <효경>, 사총 57, 2003
2. 秦漢律의 ‘不孝’에 대하여-<睡虎地秦簡><張家山漢簡>의 ‘不孝’관련 조문을 중심으로, 중국고중세사연구 19, 2008.
3. [譯注] 張家山漢簡<二年律令>爵律 興律(392簡-406簡), 목간과 문자 1, 2008.
4. 秦漢律의 ‘爲戶’를 통해 본 編戶制 운용의 한 성격-<張家山漢簡> 二年律令의 분석을 중심으로, 중국고중세사연구 20, 2008.

위의 성과 외 다수
오준석
이름 오준석(吳峻錫, Oh, Jun-seok)
학력 학사 : 경북대학교 사학과
석사 : 경북대학교 사학과
박사 : 경북대학교 사학과
경력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객원연구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계약교수
경북대학교 사학과 시간강사
학술논문 1. 漢代 행정문서의 서사형식과 문서행정체계
2. 漢代 郵傳기구의 분류 및 기능
3. 里耶秦簡 ‘手’, ‘半’의 의미와 釋讀
4. 秦代 地方統治와 문서전달체계
5. 秦代 亭의 기능과 吏員조직
6. 秦代 縣廷의 재정운용과 회계처리 – 里耶秦簡을 중심으로
7. 里耶秦簡을 통해 본 秦代 縣廷의 租稅징수
8. 秦․漢代 중앙 행정문서의 하달체계 연구
9. 秦代 공문서의 분류와 서사형식

위의 성과 외 다수
이동주
이름 이동주(李東柱, LEE, Dong-joo)
학력 학사 : 경주대학교 문화재학과(2003)
석사 : 동국대학교 사학과(2007)
박사 : 경북대학교 사학과(2018)
경력 성림문화재연구원 조사연구원(2007~2012)
경북대학교 사학과 강사(2013~2019)
학술저서 1. 문헌으로 보는 신라의 왕경과 월성(공저, 2017)
2. 설총과 문자 그리고 신라의 유학(공저, 2018)
3. 신라왕경 형성 과정 연구(단독, 2019)
학술논문 1. 신라 월지 출토 묵서토기 명문의 의미(2018, 진단학보 131호)
2. 신라하대 경장의 동향(2015, 정신문화연구38(4))
3. 신라 '의봉사년개토'명 기와와 납음오행(2013, 역사학보 220호)
4. 경주 화곡 출토 재명토기의 성격(2013, 목간과 문자10호)
5. 경주 화곡유적 출토 기와의 수급과 역사적 의미(2013, 영남고고학67
6. [삼국사기]옥사조에 보이는 당와의 실체(2013, 동방학지 164)

위의 성과 외 다수
방국화
이름 방국화(方 國花, Fang, Guo-hua)
학력 학사 : 아이치현립대학교
석사 : 아이치현립대학교
박사 : 아이치현립대학교대학원 국제문화연구과 일본문화전공
경력 日本学術振興会 特別研究員DC2
愛知県立大学文字文化財研究所客員研究員
奈良文化財研究所アソシエイトフェロー
奈良文化財研究所客員研究員
학술저서 2010, 「古代朝鮮半島と日本の異体字研究―「部」の異体字を中心に―」遠山一郎・丸山裕美子編『いくさの歴史と文字文化』三弥井書店
2014, 「「岡」の使用法から見た古代東アジア諸国の漢字文化」国語文字史研究会『国語文字史の研究』14和泉書院
2016, 「「并」字の使用法から文字の受容・展開を考える―「並」「合」との比較から―」栄原永遠男編『正倉院文書の歴史学・国語学的研究―解移牒案を読み解く―』和泉書院
2017, 「いわゆる国字について」犬飼隆編『古代文学と隣接諸学4古代の文字文化』竹林舎
학술논문 2010, 「부여 능산리 출토 299호 목간」한국목간학회『목간과 문자』제6호
2012, 「古代東アジア各国における「カギ」の漢字表記(上)―「鑰」・「鎰」―」『愛知県立大学大学院国際文化研究科論集』第13号
2013, 「古代東アジア各国における「カギ」の漢字表記(下)―「鎖」「鍵」「匙」「鉤」―」『愛知県立大学大学院国際文化研究科論集』第14号
2013, 「門構えの略体の用例からみた古代東アジアにおける漢字文化の受容と定着」『国語と国文学』90(12)

위의 성과 외 다수
하시모토 시게루
이름 하시모토 시게루(橋本繁, HASHIMOTO Shigeru)
학력 학사 : 慶応義塾大学総合政策学部
석사 : 早稲田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史学(東洋史)専攻
박사 : 早稲田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史学(東洋史)専攻
경력 早稲田大学非常勤講師
日本学術振興会特別研究員(PD)
東京大学教養学部非常勤講師
日本女子大学文学部客員准教授
학술저서 『韓国古代木簡の研究』吉川弘文館, 2014년
朝鮮史研究会編『朝鮮史研究入門』名古屋大学出版会, 2011년
李成市・宮嶋博史・糟谷憲一編『世界歴史大系朝鮮史1』山川出版社, 2017년
小倉慈司・三上喜孝編『古代日本と朝鮮の石碑文化』朝倉書店, 2018년
학술논문 「중고기신라 축성비의 연구 」『동국사학』55, 2013년
「영천 청제비의 재검토」『사림』60, 2017년
「蔚珍鳳坪里新羅碑の再検討」『東洋文化研究』(学習院大学東洋文化研究所)20, 2018년
「蔚州川前里書石原銘・追銘にみる新羅王権と王京六部」『史滴』(早稲田大学東洋史懇話会)40, 2018년

위의 성과 외 다수
금재원
이름 금재원(琴載元, Keum, Jae-won)
학력 학사 : 경북대학교 사학과
석사 :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 : 북경대학 역사학계
경력 중국 서북대학 역사학원 전임강사(2015.10~2018.6)
중국 서북대학 역사학원 부교수(2018.7~2021.7)
학술논문 1. 「가전하는 간독문서 - 수호지진간 법률문서 성격의 재고」 『중국고중세사연구』60 , 2021
2. 「前漢 시기 鴻溝 水系 교통의 재건- 梁楚 지역 郡國 변천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연구』 56, 2020
3. 「秦漢帝國 수도 권역 변천의 하부구조- 秦嶺과 黃河 교통망을 중심으로」 『동양사학연구』 149, 2019
4. 「秦代 ‘新地’ 吏員의 구성과 그 한계」 『중국고중세사연구』 85, 2018
그 외 다수
이용현
이름 이용현(李 鎔 賢, Lee, Yong-hyeon)
학력 학사 : 고려대학교 사학과
석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일본 국학원대학 대학원 일본사학과
경력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조교수(2000.9~2002.2)
국립박물관 학예연구사(2002.3~2021.8)
학술저서 1. 『한국목간기초연구』 신서원, 2006
학술논문 1. 「경산 소월리 유적 출토 人面透刻土器와 목간의 기능-목간의 기능과 농경의례- 」 『동서인문보』16 , 2021
2.「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연대 - 壬子年 해석을 중심으로 」 『신라사학보』50 , 2020
3.「忠州 高句麗碑 ‘忌’·‘共’의 재해석」 『한국사학보』80, 2020
4. 「己汶·帶沙의 위치와 그 위상」『전북사학』 59, 2020
그 외 다수
김종희
이름 김종희(金鍾希,Kim, Jong-Hi)
학력 학사 :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 :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 : 북경대학교 역사학계
경력 동아, 창원대학교 시간강사
학술논문 「동중서의 『논어』활용과 그 의미―天人三策의 분석을 중심으로」, 『중국고중세사연구』65, 2022
「『論語』목간의 摘錄과 變形-동아시아 삼국(韓·中·日)『논어』목간의 비교를 중심으로」,『木簡과 文字』28, 2022
「秦漢代 劾書의 기능을 통해 본 治獄절차와 사법활동 ― 劾단계전후 사법절차의 비교를 중심으로」 ,『중국고중세사연구』62, 2021
「秦代 縣의 曹조직과 地方官制 : 里耶秦簡에 나타난 遷陵縣의 토지· 재정운영을 중심으로」, 『동양사학연구』128, 2014
여치호
이름 여치호(呂治昊, Yeo, Chi-ho)
학력 학사 : 경북대학교 사학과
석사 : 경북대학교 사학과
박사 : 경북대학교 사학과 수료
경력 울산대학교 시간강사
경북대학교 사학과 조교
경북대학교 시간강사
학술논문 1. 元代 아스人(Asud)의 擡頭와 政治的 役割(동양사학연구 120호)
2. [Review]화제의 책: 위태로운 변경(복현사림 30호)
3. 역사인물: 귀화한 어느 색목인 가족의 역사: 설씨(偰氏) 가족(복현사림 35호)
우근태
이름 우근태(禹根泰, Woo, Geun-tae)
학력 학사 : 立命館大學 史學科 東洋史學專攻
석사 :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박사 :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학과박사과정수료
경력 立命館大學アジア太平洋大學(APU) 한국사무소 입학관리팀
경북대학교 한중교류연구소 행정조교
영남대학교 입학처 입학사정관
학술논문 1. 우근태, 2010,「화제의 책 : 전통시대 "역사공동체"가 갖는 이론적 함의」, 『복현사림』, Vol. 28, pp. 139-144
2. 금재원・우근태, 2010,「張家山漢簡<二年律令> 亡律(157簡-173簡)譯註」,『목간과 문자』 Vol. 6, pp. 193-220
이계호
이름 이계호(李癸昊, Lee, Kye-ho)
학력 학사 : 경북대학교 사학과
석사 : 경북대학교 사학과
이근화
이름 이근화(李瑾華, LEE GEUN HWA)
학력 학사 : (중국) 장춘대학 영어영문학과
석사 :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학과
박사 :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학과 (수료)
경력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시간강사
관련분야 국제학술회의 학술통역 & 번역(2008년-현재)
김학만
이름 김학만(金學万-Jin, Xuewan)
학력 경북대학교 국제대학원
유창연
이름 유창연(兪敞淵, Yu, Chang-Yeon)
학력 학사 : 경북대학교 사학과
석사 : 경북대학교 사학과
박사 : 경북대학교 사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