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학술대회 『東아시아 ‘論語’의 전파와 桂陽山城』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2-01 09:31 조회 798회 댓글 0건본문
◪일시 : 2020년 11월 26일(목)〜27일(금)
◪장소 : 인천, 계양산성박물관 교육실
◪주최 : 계양산성박물관, 경북대학교 HK+사업단, 한국목간학회
◪후원 : 한국연구재단
□ 1일차(2020.11.26.)
14:00 계양산성 논어목간 조사 및 계양산성 답사
18:00 참석자 초청 만찬
□ 2일차(2020.11.27.)
1부 : 개회식 09:30〜10:00 사회 : 안정준(서울시립대) 통역 : 이근화ㆍ山田章人
-개회사 및 환영사
-기조강연 : 東아시아의 文字交流와 論語 李成市(일본, 와세다대)
2부 : 논어의 형성과 전파 10:10〜12:00 사회 : 방국화(경북대), 통역 : 김도영
① 漢代儒教의 國教化와 論語 김경호(성균관대)
② 의례 코드에서 재심 각도 " 논어 " 두 ' 인생 '의 이해
Ningzhenjiang ( 중국 , Shanghai University )
③ 바다 희미한 한제 인 " 공자의 논어 " 첫 독서 - 또한 중서 한나라의 " 논어 "에서 칸첸 리 ( 중국 , 북경 대 )를 배웁니다
④ Dai Weihong ( 경북대 )의 투루판 문서 에서 " 공자 의 논어 " 공부 및 복사
⑤ 평양출토 竹簡 《論語》 의 文本 윤용구(경북대)
3부 : 계양산성과 논어목간 13:30〜15:20 사회 : 윤선태(동국대) 통역 : 이근화ㆍ김도영
⑥ 계양산성의 발굴과 문자자료 서봉수(백두문화재연구원)
⑦ 한국고대 산성의 집수시설과 용도 백종오(한국교통대)
⑧ 계양산성 論語木簡의 용도 橋本繁(경북대)
⑨ 한국과 일본출토 論語木簡의 比較 三上喜孝(일본, 國立歷博)
⑩ 신라의 유가교육과 論語 채미하(경희대)
4부 : 종합토론 15:40〜17:30 좌장 : 주보돈(경북대) 통역 : 방국화ㆍ山田章人
김병준(서울대), 이영호(경북대), 권인한(성균관대), 김진우(경북대), 양정석(수원대)
첨부파일
- 최종20201126-1127 東아시아 ‘論語’의 전파와 桂陽山城 자료집.pdf (18.0M) 13회 다운로드 | DATE : 2020-12-14 17:01:25